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이한우의 주역 (입문)

시대를 초월한 리더십 교과서

이한우 | 21세기북스 | 2020년 10월 6일 리뷰 총점 10.0 (6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2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4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인문 > 한국/동양철학
파일정보
PDF(DRM) 83.75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 PC(Mac)

책 소개

“리더라면 반드시 『주역』을 읽어야 한다”
이순신이 탐독했던 책,
세종과 정조를 길러낸 제왕들의 필독서


우리나라에는 『주역』에 대한 오해가 너무도 뿌리 깊다. 그저 운명을 점치는 ‘점서(占書)’로 여기지만 『주역』은 애당초 사사로운 이익과는 무관한 책이다. 『주역』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제왕의 리더십 교과서’이다. 제왕 즉 리더의 일은 그때마다 달라진 상황에 맞게 가장 마땅한 도리를 풀어가는 것이다. 그런 제왕을 위한 훈련서이자 교과서가 바로 『주역』이다.

『이한우의 주역 (입문)』은 본격적인 『주역』 공부에 앞서서, 그 본뜻을 파악하며 제대로 읽기 위해 필요한 기본 개념과 지식을 다루었다. 또 제왕이 익혀야 할 치세의 원리가 풍부하게 소개되어 있다. 책은 공자가 지었다고 알려진 「계사전」 상ㆍ하에서 시작한다. 『주역』 전반의 의미와 근본 개념들을 풀어놓고 실제 활용법까지 소개하는 입문 성격의 글이다. 그리고 64괘의 차례가 정해진 원리를 설명하는 「서괘전」이 이어진다. 「서괘전」을 통해 64괘에 대한 총체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다. 「잡괘전」은 순서를 무시하고 괘를 간략히 풀이한 것이다. 착괘(錯卦)와 종괘(綜卦)를 착안점으로 삼아 주로 두 괘를 묶어서 설명하는 방식이다. 이는 관계 중심의 사고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매우 흥미롭고 의미 있다.
  •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목차

들어가는 말 한 서양 철학도의 『주역』 등반기

「계사전(繫辭傳)」 상(上)
1. 「계사전」 상 1장
2. 「계사전」 상 2장
3. 「계사전」 상 3장
4. 「계사전」 상 4장
5. 「계사전」 상 5장
6. 「계사전」 상 6장
7. 「계사전」 상 7장
8. 「계사전」 상 8장
1) 「설괘전」 1장
2) 「설괘전」 2장
3) 「설괘전」 3장
4) 「설괘전」 4장
5) 「설괘전」 5장
6) 「설괘전」 6장
7) 「설괘전」 7장
8) 「설괘전」 8장
9) 「설괘전」 9장
10) 「설괘전」 10장
11) 「설괘전」 11장
9. 「계사전」 상 9장
10. 「계사전」 상 10장
11. 「계사전」 상 11장
12. 「계사전」 상 12장

「계사전(繫辭傳)」 하(下)
1. 「계사전」 하 1장
2. 「계사전」 하 2장
3. 「계사전」 하 3장
4. 「계사전」 하 4장
5. 「계사전」 하 5장
6. 「계사전」 하 6장
7. 「계사전」 하 7장
8. 「계사전」 하 8장
9. 「계사전」 하 9장
10. 「계사전」 하 10장
11. 「계사전」 하 11장
12. 「계사전」 하 12장

「서괘전(序卦傳)」
1. 건(乾) 2. 곤(坤) 3. 준(屯)
4. 몽(蒙) 5. 수(需)
6. 송(訟) 7. 사(師)
8. 비(比) 9. 소축(小畜)
10. 이(履) 11. 태(泰)
12. 비(否) 13. 동인(同人)
14. 대유(大有) 15. 겸(謙)
16. 예(豫) 17. 수(隨)
18. 고(蠱) 19. 임(臨)
20. 관(觀) 21. 서합(??)
22. 비(賁) 23. 박(剝)
24. 복(復) 25. 무망(无妄)
26. 대축(大畜) 27. 이(?)
28. 대과(大過) 29. 감(坎) 30. 이(離)
31. 함(咸) 32. 항(恒)
33. 돈(遯) 34. 대장(大壯)
35. 진(晉) 36. 명이(明夷)
37. 가인(家人) 38. 규(?)
39. 건(蹇) 40. 해(解)
41. 손(損) 42. 익(益)
43. 쾌(?) 44. 구(?)
45. 췌(萃) 46. 승(升)
47. 곤(困) 48. 정(井)
49. 혁(革) 50. 정(鼎)
51. 진(震) 52. 간(艮)
53. 점(漸) 54. 귀매(歸妹)
55. 풍(?) 56. 여(旅)
57. 손(巽) 58. 태(兌)
59. 환(渙) 60. 절(節)
61. 중부(中孚) 62. 소과(小過)
63. 기제(旣濟) 64. 미제(未濟)

「잡괘전(雜卦傳)」
1. 건(乾)·곤(坤), 비(比)·사(師), 임(臨)·관(觀)
2. 준(屯)·몽(蒙)
3. 진(震)·간(艮), 손(損)·익(益), 대축(大畜)·무망(无妄)
4. 췌(萃)·승(升), 겸(謙)·예(豫)
5. 서합(??)·비(賁)
6. 태(兌)·손(巽)
7. 수(隨)·고(蠱)
8. 박(剝)·복(復), 진(晉)·명이(明夷)
9. 정(井)·곤(困)
10. 함(咸)·항(恒)
11. 환(渙)·절(節), 해(解)·건(蹇), 규(?)·가인(家人), 비(否)·태(泰), 대장(大壯)·돈(遯)
12. 대유(大有)·동인(同人), 혁(革)·정(鼎), 소과(小過)·중부(中孚), 풍(豊)·여(旅)
13. 이(離)·감(坎)
14. 소축(小畜)·이(履)
15. 수(需)·송(訟)
16. 대과(大過)·이(?)
17. 기제(旣濟)·미제(未濟)
18. 귀매(歸妹)·점(漸)
19. 구(?)·쾌(?)

저자 소개 (1명)

저 : 이한우 (LEE,HAN-WOO,李翰雨)
작가 한마디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왜 송익필이라는 인물을 읽어야 하는가. 현대 한국 사회의 분열주의적 경향의 뿌리는 조선 시대, 그것도 선조 시대, 그중에서도 송익필이라고 하는 한 인물을 통해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분열주의의 뿌리를 정확히 파악할 때 진정한 통합주의로 가는 길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1961년 부산 송도해수욕장 근처에서 태어나 여름만 되면 팬티만 입고 송도해수욕장을 오가던 개구장이였다. 중학교 때는 가방에 책 대신 야구 글러브를 넣고 다닐 정도로 야구에만 미쳐 있었고, 고등학교 때는 영화 [친구]에 나오는 교사 못지않은 선생님들한테 자주 맞아 졸업식에도 참석하지 않았다. 1981년 고려대학교에 입학해 데모하다 얻어맞는 여학생을 보고 충격을 받아 학생운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겁이 많아서인지 결국 혁명가의 꿈을 접고 공부 쪽으로 방향을 돌렸다. 1985년 대학원에 들어가 철학을 공부했다. 마르크스에 대한 미련이 컸지만 대학원 과정 때 우연히 접하게 된 하이데거에... 1961년 부산 송도해수욕장 근처에서 태어나 여름만 되면 팬티만 입고 송도해수욕장을 오가던 개구장이였다. 중학교 때는 가방에 책 대신 야구 글러브를 넣고 다닐 정도로 야구에만 미쳐 있었고, 고등학교 때는 영화 [친구]에 나오는 교사 못지않은 선생님들한테 자주 맞아 졸업식에도 참석하지 않았다. 1981년 고려대학교에 입학해 데모하다 얻어맞는 여학생을 보고 충격을 받아 학생운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겁이 많아서인지 결국 혁명가의 꿈을 접고 공부 쪽으로 방향을 돌렸다. 1985년 대학원에 들어가 철학을 공부했다. 마르크스에 대한 미련이 컸지만 대학원 과정 때 우연히 접하게 된 하이데거에 매료되어 석사학위 논문으로 [마르틴 하이데거에 있어서 해석학의 문제]를 썼다.

집안 사정이 어려워 1985년부터 번역을 시작해 첫 작품으로 《헤겔 이후의 역사철학》을 냈다. 그 후 지금까지 평균 1년에 한 권 정도 번역 작업을 해왔다. 심지어 1988년부터 1990년까지 번역병으로 근무할 때에는 네 권을 번역해 계급마다 한 권씩 번역한 셈이 됐다. 번역은 나의 운명을 바꿔놓기까지 했다. 1990년 제대 후 아르바이트를 하기 위해 찾아간 곳이 [중앙일보]의 《뉴스위크》였다. 그때 정식기자로 일하지 않겠냐는 제의를 받고 ‘번역하는 기자’로 첫 직장생활을 시작했다.

기자가 되리라고는 꿈에도 생각지 못했는데 삶은 점점 그쪽으로 몰고갔다. 1991년 《월간중앙》에 김용옥의 《대화》를 비판한 것이 계기가 돼 [문화일보] 학술 담당기자로 자리를 옮겼다. ‘번역하는 기자’에서 ‘기사 쓰는 기자’로 탈바꿈한 것이다. [문화일보] 기자 생활 만 3년째 되던 1994년 12월에 [조선일보]의 제의를 받았다. [조선일보] 학술 출판 담당기자로 일하면서 한국 지식인 사회의 명암을 볼 수 있을 만큼 봤다. 2001년부터 1년 동안 독일 뮌헨에서 연수 생활을 하면서 촌티도 많이 벗었다. [조선일보] 국제부에서 일했고, 지금은 경제사회연구원 사회문화센터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출판사 리뷰

공자는 죽간이 세 번 끊어질 때까지 『주역』을 읽었다!
오직 제왕을 위한 책, 그 본질을 찾다


『주역』을 점서로 여기는 편견은 『주역』 공부에 대한 접근과 풍부한 이해와 해석을 가로막아왔다. 본질적 관점에서 『주역』에 파고들어 번역하고 풀이한 이한우는 『주역』이 곧 ‘제왕학’임을 강조한다. 그래서 『이한우의 주역』(전 3권, 21세기북스)은 ‘시대를 초월한 리더십 교과서’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뿌리 깊은 오해와는 달리 『주역』은 점술과는 거리가 멀다. 소인의 사사로운 이익에는 관심조차 두지 않는다. 또한, 『주역』을 공부한다는 것은 지식을 늘리기 위함도 아니고 점술을 익히는 것도 아니며, ‘다름’ 아닌 ‘다움’을 배워 내 것으로 만드는 것이다.

공자는 『주역』을 깊이 파고들어 체계화하며 이 책의 진수가 ‘제왕의 일’을 하는 데 있음을 밝힌다. 공자는 『주역』에서의 ‘일’을 ‘그 달라짐을 통하게 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즉, 지도자가 일한다는 것은 그때그때 달라진 상황에 맞추어 가장 마땅한 도리를 찾고 순리대로 풀어나감을 의미한다. 선천적으로 일을 잘하는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은 그것을 배우지 않고서는 잘 해내기 힘들다. 제왕이 일을 잘하도록 훈련하는 책이 바로 『주역』이다.

시대를 초월한 리더십 교과서 『주역』
점서의 오명을 벗고 다시 태어나다!


주역이 점서의 오명을 쓴 데에는 주희의 영향이 크다. 그는 신권(臣權)을 숭상한 사람이다. 주희는 제왕이 더 굳세고 눈이 밝아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그래서 『논어』의 체계를 허물어 사대부의 심신 수양서 정도로 격하시켰고, 『주역』도 미래 운명을 가늠하는 점서로 전락시킨 것이다.

이한우는 격하되어 본뜻과 가치를 훼손당한 『주역』이 본래 체계와 가치를 되찾는 데 힘을 쏟았다. 특히 주희의 편협한 해석을 다각도로 비판했다. 『주역』을 『논어』로 풀었으며 정이(程?)와 정약용 등 여러 학자의 관점을 참고로 하였다. 여기에 『조선왕조실록』과 반고의 『한서』를 비롯한 중국사의 사례와 인물을 덧붙여 검증하고 해설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제왕학 교과서로서 『주역』의 풍부한 면모를 되살릴 수 있게 했다. 기본적인 풀이는 흔히 의리역(義理易)의 최고 이론가로 꼽히는 송나라 정이천(程伊川)의 『역전(易傳)』의 도움을 크게 받았다.

회원 리뷰 (2건)

한줄평 (4건)

0/50
맨위로